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홍성군청

행복이 가득한 지금 홍성은?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에 콘텐츠는 유튜브에 등록된 관련 영상을 불러와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영상은 필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선별 합니다. 문제있는 영상은 신고해주세요!

신고하기

마을소개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말엽엔 결성군(結城郡) 화산면(花山面)의 지역이었다. 큰 골짜기가 되므로 한골 황골 또는 대동 황곡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상대동(上大洞) 중대동(中大洞) 하대동(下大洞) 묵동(墨洞) 독리(纛里) 일부를 병합하여 황곡리(篁谷里)라해서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소정(蘇井)이 : 마을에 옛날에는큰 소나무 정자가 있었다 해서 소정이라고 부른다.
    • 하고개 : 하우고개 황우고개라고 부르는데 옛날에 홍주목사(洪州牧使)가 홍주읍내(洪州邑內)를 바라보기 위해 자주 올랐던 고개이며 홍주를 지나 서산으로 가는 행인들이 쉬면서 말과 소에게 풀을 먹이고 사람은 한숨 돌리는 고개라 하고개 하우고개 황우고개라고 부른다.
    • 온전골 : 옛날 뜨거운 물이 나오는 온천이 있었던 고개라 온전골이라고 부르는 골짜기다.
    • 살포쟁이고개 : 옛날에는 이 고개에서 죄인 또는 가축을 죽였던 고개라 살포쟁이 고개 또는 살포티라고 부르는 고개다.
    • 대동(大洞) : 큰 골짜기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대동(大洞) 황골 한골 황곡이라고 부른다. 또한 대동(大洞)아래쪽에 자리한 마을은 하대동(下大洞)이라 부르고 대동(大洞) 중앙에 자리한 마을은 중대동(中大洞),위쪽에 자리한 마을은 상대동(上大洞)이라고부른다.
    • 먹굴 : 옛날에는 숲이 우거져서 항시 마을이 어두침침 하였다 하여 먹굴 묵동(墨洞) 이라고 부른다.
    • 이봉들 : 사시사철 물이 마르지 않는 들이라 이봉들이라고 부르는 들이다.
    • 선돌과 들돌 : 제사를 성의 없게 지내면 마을에 액운이 돌아온다 해서 성의를 다하는 제사이며 마을에서 위하는 돌이다.
    • 둑재내 : 내세내 둑령천 벌리천 천세천이라고도 부르는데 냇물이 스쳐간다 하여 둑재내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화산면(花山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봉지동 (鳳枝洞) 갈오리(葛五里) 독리(纛里) 일부를 병합하여 갈오(葛五)와 봉지(鳳枝)의 이름을 따서 오봉리(五鳳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봉지(鳳枝) : 산에 꽃이 많으므로 화산(花山)이라고 불렀는데 세월이 흐름에 따라 새까지 새가지 봉지리 (鳳枝里)라고도 부른다.
    • 독재봉 : 높이 108m되는 산으로서 모양이 뚝처럼 생겼다 해서 독재봉 또는 죽봉(竹峯)이라고 부른다.
    • 둑재 : 조선때에 이씨 한 사람이 오봉산(五鳳山)에 묘를 쓰기 위해 유명한 지관을 불러 자리를 고른 다음 그 곳을 지관이 가리키는 대로 파는데 바위가 나옴으로 그 바위를 파냈더니 그 바위 밑에서 새 다섯 마리가 날아갔다 하여 오봉산(五鳳山)이라 부르는데 그 쪽을 면하고 있기 때문에 둑재엔 명당이 있다고 전한다.
    • 물항골 : 수항동 물안골이라고도 부르는데 일월산(日月山) 아래가 되어서 물이 흔한 마을이라 물항골 수항동 물안골이라고 부른다.
    • 영담물 : 세조 때 선비 다섯 사람이 서당을 세우고 성삼문 같은 절개의 충신이 되고자 모여서 글을 읽으며 또한 서생들에게 글을 가르치려 하였으나 홍윤성의 미움을 사서 서당이 없어진 곳이다. 그후에도 많은 주목을 받은 서당이 있었던 마을이라 전한다.
    • 삼형제(三兄第)바위 : 봉지(鳳枝) 마을 뒷산에 바위가 약 20m 간격으로 놓여 있는데 이 바위를 삼형제바위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화산면(花山面)의 지역이었다. 조선 때 공수전(公須田)이 있었으므로 공숫골 또는 공수동(公須洞)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상공리(上公里) 하공리(下公里) 죽두리(竹頭里) 벌리(伐里) 화리(禾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공리(公里)라 하고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청기왓들 : 옛날에 청기와를 구웠던 가마가 있었던 들이라 청기왓들이라고 부른다.
    • 하공(下公) : 새뜸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이 새로 생긴 마을이라 새뜸이라고 부른다.
    • 포룡봉(抱龍峯) : 용이 산봉을 두르고 있는 산이라 하는데 산아래에서 인재가 나오는 곳이라 그 인재가 나오기까지 지켜주는 산이라 한다.
    • 장승배기 : 옛날에 장승이 서있었다 해서 장승배기라고 부르는데 마을에 밀어닥치는 액운을 없애기 위하여 장승을 세우고 제사를 지내줬다 한다.
    • 여수골 : 옛날에는 여우가 많이 살았으며 또한 불여우가 살아서 가끔 처녀로 둔갑하여 지나는 행인을 괴롭혔던 골짜기라 한다.
    • 언진바위 : 바위 위에 바위가 얹어있다 하여 언진바위라고 부르는데 아기를 갖지 못한 아낙네들이 찾아와서 돌이 바위 위에 얹기를 기다리며 돈을 던지던 바위라고 한다.
    • 수릿들 : 수렛들 차동(車洞) 화리(禾里)라고도 부르는데 높은 산 아래 마을이 있다해서 수릿들 수레들 차동(車洞) 화리(禾里)라고 부른다.
    • 공수동(公須洞) : 조선 때에 공수전(公須田)이 있었던 마을이라 공수동(公須洞) 공숫골이라고 부른다.
    • 대머리 : 죽수(竹藪) 죽두리(竹頭里) 죽촌(竹村)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에 대숲이 많았던 마을이라 대머리 죽수 죽두리 죽촌이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화산면(花山面)의 지역으로서 남쪽에 산이 있으므로 남산(南山)이라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에 남산리(南山里) 도장동(桃長洞) 대야리(大也里) 하공리 (下公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남산리(南山里)라 하고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도장동(桃長洞) : 도장굴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에는 복숭아 나무로 숲을 이룬 마을이라 하여 도장동(桃長洞) 도장굴이라고 부른다.
    • 내세 : 내의 서쪽에 마을이 있다 해서 내세 천서(川西) 천세라고 부른다.
    • 남산(南山) : 마을 남쪽으로 산이 있다 해서 남산(南山)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 독젱이 : 옛날에 독점이 있었다 해서 독젱이 독전이라고 부르며 또한 옛날에 석정(石亭)이란 호를 가진 선비가 살았다 하여 석정(石亭)이라고 부른다.
    • 갓골 : 좁은 골짜기에 자리한 마을인데 지형이 갓과 같이 생겼다 해서 갓골이라고 부른다. 또한 관곡(冠谷)이라고도 부른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때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화산면(花山面)의 지역으로서 지형이 버들가지가 늘어진 것 같다 해서 장버들 또는 장양(長楊)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당리(塘里)와 장양리(長楊里) 가정리(佳井里) 월암(月岩) 벌리(伐里) 독리(纛里) 죽두리(竹頭里)와 구항면(龜項面) 내하리(內下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장양리(長楊里)라 해서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가재물 : 가정(佳井)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에 좋은 우물이 여러 곳에 있다 해서 가재물 또는 가정(佳井)이라고 부른다.
    • 당꼼말 : 마을에 당집이 있었다 해서 당골말 당리(堂里) 당꼼말이라고 부른다.
    • 벌리(伐里) : 마을이 벌판에 자리해 있다 해서 벌리(伐里) 벌말이라고 부른다.
    • 장버들 : 장양(長楊)이라고도 부르는데 지형이 버들가지가 늘어져 있는 형국이라 장버들 장양(長楊)이라고 부르는데 앵소형(鶯巢形)의 명당이 있다는 마을이다.
    • 월암(月岩) : 마을에 바위가 있는데 옛날에는 망월대와 같다 하여 마을 사람들이 달맞이를 하였다 한다. 또한 나무가 우거져서 달밤이면 더욱 절경을 이룬다 하여 월암(月岩)이라고 부른다.
    • 한천동(寒泉洞) : 참샛골 찬샘골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에 찬샘이 있었다 해서 한천동(寒泉洞) 찬샘골 참샛골이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구항면(龜項面)의구역으로서 태봉산(胎峯山)이 있으므로 태봉골 또는 태봉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외상리(外上里) 외신리(外新里) 태봉동(胎封洞) 화산면월암리(花山面 月岩里)의 일부를 병합하여 태봉리(胎封里)라 하고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가오라기 : 가오라기 또는 외중리(外中里). 지형이 소가 논을 가는 형국이라 가오래기라고 부르는데 외리(外里)의 중앙에 자리해 있다해서 외중리(外中里)라고도 부른다.
    • 귀양골 : 귀양굴 외상리라고도 부르는데 외리(外里) 위쪽에 자리한 마을이다.
    • 대추도랭이 : 모롱이에 대추나무가 있었다 해서 대추도랭이라고 부르는 모양이다.
    • 독가마니 : 옛날 마을에 질그릇을 굽는 가마가 있었다고 독가마니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 되촌이 : 마을이 마을 위쪽으로 자리해 있다 해서 되촌이 되천이라고 부른다.
    • 별고개 : 양지바른 곳에 고개가 있으므로 볏고개라고 부르다가 변해서 별고개라고 부르는데 그 고개 아래에 마을도 별고개라고 부른다.
    • 쉬운마지기들 : 들의 논과 밭이 쉬운마지기가 된다 해서 쉬운마지기들이라고 부른다.
    • 외리(外里) : 내현리(內峴里) 고개에 작은 산이 있는데 그 산 안쪽인 내현리의 굴목을 내리(來里)라 하고 이 곳은 외리(外里)라고 부른다.
    • 태봉골 : 태봉산(胎峯山) 아래에 마을이 있다 해서 태봉(胎封)골이라고 부른다.
    • 태봉산(胎峯山) : 옛날부터 명산엔 왕실의 태를 묻어서 그 산을 태봉산(胎峯山) 또는 태봉재라고 불렀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구항면(龜項面)의지역이었다. 거북 모양의 바위가 머리를 안쪽으로 향하고 있어 내현(來峴)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상리(上里) 내중리(內中里) 발현리(鉢峴里) 내하리(內下里)일부를 병합하여 내현리(內峴里)라 하고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항(龜項) : 마을 지형이 거북이의 목처럼 생겼다 하기도 하고 굴(골)의 목처럼 생겼다고 하는데 그래서 구항(龜項) 구항(仇項) 구산(求山) 귀목 내중리(內中里)라고 여러모로 부르는 마을이다.
    • 개산골 : 보개산(寶蓋山) 기슭에 마을이 있다 해서 개산골이라고 부른다.
    • 개몰 : 구항(龜項) 마을 뒷산에 서서 건너다 보면 범이 개를 노리고 있는 형국이라 개몰이라고 부른다 한다.
    • 꽃밭미 :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화산면(花山面)이었던 곳인데 뒷산으로 꽃이 사시사철 많이 피는 곳이라 옛날에 전병사(田兵使)가 도임하는 길에 이곳에서 쉬어가는데 마침 밤이 되어 횃불을 든 것이 마치 꽃밭 같았다 한다.
    • 갓뜸 : 마을이 마을 갓쪽으로 자리해 있다 해서 갓뜸이라고 부른다.
    • 목안과 목밖 : 내현리(內峴里)에 작은 내가 흐르는데 내에 거북이를 닮은 바위가 있다. 그 바위가 머리를 안쪽으로 향한 곳에 자리한 마을은 목안이라고 부르고 바깥쪽 마을은 목밖이라고 부른다.
    • 발읍재 : 발현리(鉢峴里)라고도 부르는데 지형이 바리처럼 생겼다 해서 발읍재 발현리(鉢峴里)라고 부른다.
    • 배암산 : 산이 뱀처럼 생겼다 해서 배암산이라고 부른다.
    • 범바위 : 바위 모양이 범처럼 생겼다 해서 범바위라고 부르는 바위이다.
    • 지랑바위 : 좌랑암(佐郞岩)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에 좌랑(佐郞)벼슬을 한 전씨 한 사람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내려와서 글을 짓고 놀았다 해서 좌랑암(佐郞岩) 이라고 부른다. 또한 좌랑바위가 있는 마을도 좌랑바위, 지랑바위라고 부른다.
    • 황새울 ; 많은 황새가 이곳에 날아와서 살았다 한다. 그래서 이 마을을 황새울이라고 부른다 한다.
    • 윗갓뜸과 아래갓뜸 ; 갓뜸마을 위쪽으로 자리한 마을은 윗갓뜸이라고 부르고 갓뜸마을 아래쪽으로 자리한 마을은 아래갓뜸이라고 부른다.
    • 여새울 ; 옛날에는 황새가 수 놓으며 하늘을 선회하며 학이 많이 날아왔던 마을이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두암면(斗岩面)의 지역으로서 묵동(墨洞) 지석리(支石里)와 미정리(美井里) 고정리(古井里) 척괴리(尺槐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지석(支石)과 미정(美井)의 이름을 따서 지정리(支井里)라 하여 결성군(結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청룡고개 : 지석리(支石里)에서 골우물로 가는 고개를 청룡고개라고 부른다. 고개에 용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청룡(靑龍)이라고도 부른다. 먼 옛날 하늘로 승천한 용이 다시 땅으로 내려 와선 청룡(靑龍)이 되어 이곳을 지켰다 하는데 그래서 청룡(靑龍)이 비오는 날이면 서해바다로 왕래하던 이 고개를 청룡(靑龍)고개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또한 고개에 장승이 있고 성황당이 있었다해서 장승배기 서낭당고개라고도 부른다.
    • 고정(古井) : 찬샘골 찬샘글이라고도 부르는데 고려 때부터 좋은 샘 찬샘이 있어서 약수물을 받으러 많은 사람들이 왕래하였었다. 오래된 샘이지만 물은 항상 맑고차서 약수터로 수면이 긴 샘이 있다하여 고정(古井)찬샘골 찬샘굴이라고 부른다.
    • 지석리(支石里) : 마을에 고인돌이 있었다 해서 지석리(支石里)라고 부른다.
    • 용바위 : 바위가 용처럼 생겼다 해서 용바위라고 부르는 바위다.
    • 옻샘 : 찬 샘물이 나오는 샘이 있는데 피부병에 좋다 해서 옛날부터 널리 알려졌던 약수터이다.
    • 영가래 : 옛날부터 묘막을 짓고 3년 이상 시묘(侍墓)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영가래의 사람하면 효자가 사는 마을로 불렀었다 한다.
    • 안텃골 : 마을의 지형상 안쪽으로 자리해 있다 해서 안텃골이라고 부른다.
    • 소마답산 : 옛날에 이 산에서 소를 길렀다 해서 소마답산이라고 부른다.
    • 숲굴 : 마을에 숲이 우거져서 집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자연을 자랑하는 마을이라 숲굴이라고 부른다 한다.
    • 양가재 ; 조선 때는 목화(木花)가 잘 되는 마을로 면산지(棉産地)로 이름 났던 마을이라 한다.
    • 모사래 ; 옛날에는 마을 주변에 사태가 났을 때 모래가 많았다 해서 모사래라고 부른다 한다.
    • 묘막(墓幕) ; 대숲말 북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묘막(墓幕)이라고 부른다. 서씨의 묘막이 있는 곳에 마을이 생기자 묘막(墓幕)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 먹적골 ; 옛날에 먹을 만드는 절이 있었다 해서 먹적골이라고 부른다.
    • 말바위 ; 바위의 높이는 3m 정도인데 바위에 구멍이 있어서 말을 하면 울려 나온다 하여 말바위라고 부른다.
    • 다리실 ; 마을과 마을 주변에 다래가 많았다 하여 다리실이라고 부른다.
    • 석보(石譜) ; 바위에 연산서씨(連山徐氏)의 족보를 새겨 놓았다. 그래서 돌에 족보를 새겨 놓았다해서 석보(石譜)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두암면(斗岩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대두리(大斗里) 내두리(內斗里) 미정리(美井里) 일부와 홍주군 궁경면(洪州郡 躬耕面)의 선암리(仙岩里) 일부를 병합하여 대두(大斗)와 미정(美井)의 이름을 따서 대정리(大井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구억말 : 마을이 구석진 곳에 자리해 있다 해서 구억말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 마재 : 마재에서 은하면(銀河面) 장곡리(長谷里) 다릿골로 넘어가는 고개인데 그 고개 아래 마을을 마재라고 부른다. 또한 내두(內斗) 두현(斗峴)이라고도 부르는데 말(斗)의 속처럼 지형이 되어 있다 해서 마재 내두(內斗) 두현(斗峴)이라고 부른다.
    • 돌소지 : 대두(大斗)라고도 부르는데 마을 주위에 바위가 많이 있다 해서 돌소지 대두(大斗)라고 부른다.
    • 당재모랭이 : 고개가 꼭 문처럼 생겼다 해서 문고개라고 부르며 문바위와 비례해서 동문고개라고도 부르는데 그 고개 아래에 자리한 마을도 고개 지명 따라 문고개라고 부른다.
    • 문바위 : 바위가 문처럼 생겼다 해서 문바위라고 부르고 문고개에 비례해서 서문바위라고 부른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두암면(斗岩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신매리(新梅里) 시곡리 척괴리(尺槐里) 고정리(古井里) 각 일부를 병합하여 신매(新梅)와 시곡의 이름을 따서 신곡리(新谷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척괴 : 신곡리(新谷里) 산등성이에 마을이 있는데 지금으로부터 200여 년 전 마을에 괴목이 있었는데 그 나무는 오래 되어도 한자의 키밖에 크지 않는 괴이한 나무였다 한다. 그래서 척괴(尺槐)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 쪽나무쟁이 : 옛날부터 광천(廣川)과 홍성(洪城) 장날이면 쪽나무를 지고 나무를 팔러 다니는 사람들이 모였던 곳에 마을이 생기자 쪽나무쟁이라고 불렀다 한다.
    • 시목동 : 감나무골이라고도 부르는 마을인데 마을에 감나무가 많이 있다 해서 시목동 감나무골이라고 부른다.
    • 소쟁잇들 : 옛날에 들판에 섬같은 동산이 있다 해서 여기 논을 섬두리논이라고 불렀다.
    • 섬두리논 : 논 가운데 섬같은 동산이 있다 해서 여기 논을 섬두리논이라고 불렀다.
    • 새매성이 : 이곳에 마을을 일으킬 때에 광천읍(廣川邑) 매성리(梅城里) 사람들이 이곳으로 분호하여 새로마을을 이룩하였다 해서 새매성이라고 부른다.
    • 삼파냇들 : 세 갈래의 내가 있다 해서 삼파냇들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 보시복 : 마을이 보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해서 보시복이라고 부른다.
    • 벌뜸 : 벌파네 마을이 자리해 있다 해서 벌뜸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 사낭댕이 : 매성이고개라고도 부르는데 고개에 서낭당이 있었으므로 서낭댕리라고 부르는데 옛날에는 크게 제사를 지냈었다.
    • 매봉재 : 산에 복치형(伏雉形)의 명당이 있다는 산인데 꿩과 기러기가 한겨울에는 장관을 이루는 산이라 작은 산이지만 사냥꾼들이 겨울이면 상주하다시피 사는 산이다.
    • 말고개 : 갈마재라고도 부르는데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의 명당이 있다는 고개이므로 갈매재, 말고개라고 부른다.
    • 감남굴 : 시곡리, 감나무굴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에 감나무가 있었다 해서 감남굴, 시곡리, 감나무골이라고 부른다 한다.
    • 초분(草墳)골 : 옛날에 사람이 죽으면 초분(草墳)을 하였던 골짜기라 초분(草墳)골 이라고 부르는 골짜기다.
    • 백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 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두암면(斗岩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와학리(臥鶴里) 소반동(小盤洞) 묘동(猫洞) 신대리(新垈里)를 병합하여 청광산(靑光山)의 이름을 따서 청광리(靑光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소반(小盤)굴 : 마을 지형이 옥녀금반형(玉女金盤形)이라 하는데 그래서 소반골 소반동이라고 부른다.
    • 다래울 : 청광산(靑光山) 아래에 자리한 마을인데 다래가 많았다 해서 다래울이라고 부르며 또한 달과 같다 해서 월곡(月谷)이라고도 부른다.
    • 묘동(猫洞) : 괴열 괴혈이라고도 부르는데 마을에 괴(고양이) 혈의 명당이 있다 해서 괴혈이 변해서 괴열 또한 묘동(猫洞)이라고도 부른다.
    • 감나무골 : 시곡이라고도 부르는데 옛날에는 마을에 감나무가 많이 있었다 해서 감나무골 감나무굴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 사태 : 마을이 새로 생겼다 해서 새터 또는 신대(新垈)라고도 부르는 마을이다.
    • 제 때는 결기군(結己郡)에 속했었다. 신라 때는 결성군(潔城郡)에 속했으며 고려때는 결성군(結城郡)에 속했었다. 조선 초엽엔 결성현(結城縣)에 속했다가 조선 말엽엔 결성군(結城郡) 두암면(斗岩面)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에 요동(堯洞)온동(溫洞) 마근동(麻根洞)을 병합하여 마근(麻根)과 온동(溫洞)의 이름을 따서 마온리(麻溫里)라 하여 홍성군(洪城郡) 구항면(龜項面)에 편입되었다.
    • 질패기 : 마근골 동쪽으로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을 질패기라고 부른다. 고려시대부터 그릇을 구웠다는 도요지가 있었다.
    • 해우배밋들 : 해우값으로 주었다는 글이라 해우배밋들이라고 부르는 들이다.
    • 마근동(麻根洞) : 사방이 막혀있는 마을이라 마근동(麻根洞) 마근골 마궁말이라고 부른다.
    • 배바위 : 바위 모양이 배처럼 생겼다 해서 배바위라고 부르는 바위다.
    • 불당골 : 옛날에 골짜기에 불당이 있었다 해서 불당골이라고 부른다.
    • 썩은바위 : 바위가 푸석돌로 되어 있어서 그리 부르는 바위다.
    • 수리너머 : 온배미에서 홍성읍 남장리로 가는 고개 수리고개 아래에 마을이 있다 해서 수리너머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 온동(溫洞) : 온배미라고도 부르는 마을인데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서 온화한 마을이라 온동(溫洞) 또한 온배미라고 부른다.
    • 욧골 : 요동(堯洞) 윳골이라고 부른다. 조선 말엽 홍주군을 공략했다가 왜군에게 쫓긴 의병들이 이곳까지 밀려 왔다가 다시 전력을 가다듬어 재기를 노렸던 마을인데 무참하게도 왜군과 관군의 습격을 받아 많은 의병들이 피바다를 이룬 한(恨)이 서린 마을이라고도 전한다.
    • 소군산(小郡山) : 홍성에서 광천쪽으로 길을 따라간 산의 줄기가 마치 소의 형국 같다 하는데 그래서 소근산이라 부르다가 변하여 소군산(小郡山)이라고 부른다 한다.
    • 꽃조개 : 옛날에는 고개에 진달래가 많이 펴서 꽃의 동산을 이루었는데 그래서 봄철에는 꽃구경을 오는 사람들도 많았으며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선 꽃을 보며 즐기던 고개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