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홍성군청

행복이 가득한 지금 홍성은?
해당 콘텐츠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하단에 콘텐츠는 유튜브에 등록된 관련 영상을 불러와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적절한 영상은 필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선별 합니다. 문제있는 영상은 신고해주세요!

신고하기

홍성인물 캐릭터

최영 캐릭터 이미지
최영
  • 호 : 무민공
  • 생애 : 1316~1388
  • 주요활동 : 고려의 명장, 홍건적격파, 왜구격파
AI 다운로드 JPG 다운로드
  • 고려의 명장·재상. 본관은 동주(東州). 평장사 유청(惟淸)의 5세손, 사헌규정 원직(元直)의 아들로 홍주 적동(현재 홍성 홍북 노은리)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 1352년(공민왕1)에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평정하였다. 1358년 배 400척으로 오예포(吾乂浦)에 침입한 왜구를 복병을 이용하여 격파하였다. 1359년 홍건적 4만 명이 침입하여 서경을 함락시키자, 여러 장수와 함께 무찔렀다. 1361년에 홍건적 10만이 다시 침입하여 개경을 함락시키자, 이듬해 안우·이방실 등과 함께 이를 격퇴하 여 개경을 수복하였다. 1367년(우왕2)왜구가 연산 개태사에 침입하자, 늙은 몸으로 출정하기를 자원하여 홍산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러 그 공으로 철원 부원군이 되 었다. 1378년 왜구가 승천부에 침입하자, 이성계·양백연 등과 함께 적을 크게 무찔렀다. 1384년 문자시중을 거쳐 판문하부사가 되었다.
  • 1388년 명나라가 철령위의 설치를 통고하여 철령 이북과 이서·이동을 요동에 예속 시키려 하자, 요동정벌을 결심하고 팔도도통사가 되어 왕과 함께 평양에 가서 군사를 독려하는 한편, 좌군도통사 조민수, 우군도통사 이성계로 하여금 군사 3만 8,800여명으로 요동을 정벌하게 하였으나, 이성계가 조민수를 달래어 위화도에서 회군함으로써 요동정벌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그는 이성계에게 잡혀 고봉현(현 고양)으로 귀양 갔고, 다시 합포(지금의 마산)·충주로 옮겼다가 개경으로 압송 되어 순군옥에 갇힌 뒤 그해 12월에 참수(斬首)되었다.
  • 이 소식을 들은 개경 사람들은 저자의 문을 닫고 슬퍼하였으며, 온 백성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이성계는 새 왕조를 세우고 나서 6년 만에 무민(武愍)이라는 시호 를 내려 넋을 위로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에 있는 그의 무덤은 풀이 나지 않는다고 하여 ‘적분(赤墳)’으로 불린다.
성삼문 캐릭터 이미지
성삼문
  • 호 : 매죽헌
  • 생애 : 1418~1456
  • 주요활동 : 단종복귀 꾀함, 사육신
AI 다운로드 JPG 다운로드
  •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죽은 사육신 가운데 한 사람으로 조선왕조의 대표적인 절신(節臣)으로 꼽힌다.
  • 본관은 창녕. 자는 근보(槿甫)·눌옹(訥翁), 호는 매죽헌(梅竹軒). 시호는 충문(忠文) 아버지는 도총관 승(勝)이다. 외가인 홍주(洪州) 노은골에서 출생할 때 하늘에 서 “낳았느냐” 하고 묻는 소리가 3번 들려서 삼문(三問)이라 이름 지었다는 일화가 전한다.
  • 1435년(세종 17) 생원시에 합격하고, 1438년에 식년시에 응시, 급제하였다. 집현전학사로 뽑힌 뒤 세종의 명으로 훈민정음을 만들 때 정인지·신숙주·최항·박팽 년·이개(李塏) 등과 더불어 이를 도왔다. 특히 신숙주와 함께 당시 요동에 귀양 와 있던 명나라의 한림학사 황찬(黃瓚)에게 13차례나 왕래하며 정확한 음운(音韻) 을 배워오고, 명나라 사신을 따라 명나라에 가서 음운과 교장(敎場)의 제도를 연구해오는 등 1446년 훈민정음 반포에 큰 공헌을 했다.
  • 1455년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성삼문은 아버지 성승과 이개, 하위지, 유응부, 박팽년, 유성원 등과 함께 단종을 복위시키려다 실패하여 능 지처형(凌遲處刑)을 당했고 집안도 멸문(滅門)의 참화를 당했다.
  • 1691년(숙종 17)에 관직이 회복되었으며, 1758년(영조 34)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문(忠文)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숙종 2년(1676)에 이량과 호서의 유림 등이 선생 의 옛 집 근처에 사당을 세우고 사육신을 같이 모실 것을 청하자, 나라에서 녹운서원이라 하였고, 뒤에 노은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흥선대원군이 서원철폐령에 의해 철폐되었고, 후에 유생들이 사육신의 위패를 모시고 노은단이라고 하고 제사를 지냈다.
  • 1954년 홍성 고적현창회에서는 제단을 보수하고, 노은단수호위원회에서 음력 9월 16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한용운 캐릭터 이미지
한용운
  • 호 : 만해
  • 생애 : 1879~1944
  • 주요활동 : 독립운동가, 시인, 독입운동 민족대표 33인
AI 다운로드 JPG 다운로드
  • 만해 한용운은 1879년(고종16) 8월 29일 결성면 성곡리 박철동 잠방굴에서 청주한씨 서원군 한명보의 후손인 부친 한응준과 모친 온양방씨 의 차남으로 출생하였다. 어릴 때 이름은 유천(裕天), 본명은 정옥(貞玉), 불명은 용운(龍雲), 법호는 만해 (卍海, 혹은 萬海)라 한다. 6세부터 성곡리의 서당골에서 한학을 배웠으며 9세에 문리를 통달하여 신동이라 칭송이 자자하였다.
  • 1911년 조선총독부가 조선사찰령을 공포하여 우리나라의 불교를 일본불교에 예속시키고 사찰에 대한 권리를 장악하려 하자 반대운동을 벌였으며, ‘조선불교유신 론’을 집필하여 불교계의 개혁을 주도하였다. 1919년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으로 독립선언을 하는데 주동적 역할을 하였고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경찰에 체포 되어 서대문 형무소 수감 중 ‘독립의 서(獨立의 書)’를 썼다.
  • 1926년 88편으로 된 ‘님의침묵’ 시집을 발간하였고 지조가 곧고 절개가 있어 일제와 추호의 타협도 하지 않았으며 끝까지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몸바치다가 1944년 6월 29일 서울 성북동 심우장에서 별세하였다. 묘지는 서울 중랑구 망우동 정상에 부인유씨와 같이 쌍봉으로 안장되었다. 홍성군은 결성면 성 곡리 한용운 생가지에 생가 복원에 이어 사당을 건립하였다.
김좌진 캐릭터 이미지
김좌진
  • 호 : 백야
  • 생애 : 1889~1930
  • 주요활동 : 독립운동가, 애국계몽 및 개화운동 전개, 1920년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 대파
AI 다운로드 JPG 다운로드
  • 백야 김좌진장군은 1889년(고종26) 선원 김상용의 12세손인 형규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 장군은 어려서부터 천성이 호방영민하고 용력이 뛰어났고, 18세 때 호명학교를 설립하여 인재양성과 신학문을 교육하기도 하였다. 광복단 사건으로 3년간 옥 고를 겪은 후 1917년 만주로 건너가 3·1운동의 전주곡이 되는 무오독립선언서에 39명의 민족지도자와 함께 서명하였다.
  • 1919년 북로군정서를 조직하고 총령관이 되었다. 그리고 사관연성소를 설치하여 독립군을 양성하였고, 31세가 되던 해에 시베리아로 출전 중이던 일본군 3,000여 명을 화룡현 청산리로 유인하여 1,200여 명을 전상자로 만든 7일 간의 전투가 바로 대한민국 독립운동사상 최대의 금자탑을 이룬 1920년 10월 21일에 있었 던 청산리 전투이다.
  • 1925년 김혁, 최호, 나중소 등과 함께 신민부를 조직하여 총사령관이 되었으며, 1929년 김종진, 이을규 등과 함께 한국총연합회를 조직하여 수석에 취임하여 재미동포의 교육과 민생에 주력하는 한편, 중국의 항일 세력과 연합하여 대일항전을 준비하던 중 1930년 1월24일(음 12월 25일) 북만주 중동선 산사역부근 정미소 앞에서 일제의 사주를 받은 박상실의 흉탄에 순절하였다.
  • 홍성군은 1991년부터 김좌진장군 생가 성역화 사업을 추진하여 생가와 문간채, 사랑채를 복원하고 관리사 및 전시관을 건립했다. 또한 김 좌진장군 사당은 1998~2001년까지 성역화사업 추진으로 2,880평의 부지를 확보하여 내·외삼문, 재실, 주차장 등을 조성하였으며, 매년 10월에 김좌진장군의 청산리 전투 전승기념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한성준 캐릭터 이미지
한성준
  • 생애 : 1875~1941
  • 주요활동 : 승무(중요문화재 제 27호)와 태평무(중형문화재 제 29호)등 여러 유형의 전통춤 창안 및 재구성한 춤의 대가
AI 다운로드 JPG 다운로드
  • 한성준은 1874년 6월 12일 충남 홍성군 갈산면 신안리 빈한한 농가에서 한천오의 6남매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 1879년부터 민속무용과 줄타기로 유명했던 조부 백운채에게 춤과 장단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7살때부터 ‘승무’를 공부하고 8살부터 여러 잔치 행사에 출연, 천재라는 칭찬을 받았다.
  • 1881년 무렵에는 홍패사령을 따라 다니며 줄을 타거나 재주를 부렸고 14세가 되면서는 홍성골 서학조에게 줄과 재주를 3년간 배웠다. 1938년 ‘조선음악무용연구소’를 설립하여 후진양성에 전념하였으며, 이 무렵 40여가지에 달하는 전통춤을 재구성하고 집대성하였다.
  • 1940년 2월 부민관에서 제2회 무용발표회를 열어 학무, 살풀이춤, 태평무, 사자무, 신선무, 동자무, 아리랑무 등 20여 종목을 공연하였으며 4월 일본 동경 히비야 공회당에서 첫 해외 공연을 가졌다.
  • 1941년 5월 소설가 이태준, 화가 고희동 등과 제2회 조선예술상을 수상하였다. 손녀 한영숙에게 모든 춤을 물려주고 낙향하여 68세의 일기로 타계하였다.
이응노 캐릭터 이미지
이응노
  • 호 : 고암
  • 생애 : 1904~1989
  • 주요활동 : 21세인 1924년에 [조선미술전람회]에 처음 입선한 이후 일제시대에 이 전람회에서 여러차례 수상
AI 다운로드 JPG 다운로드
  • 고암 이응노는 1904년 홍성에서 태어나 1989년 파리에서 생을 마칠때까지 온 삶을 그림으로 채운 화가입니다.
  • 21세인 1924년에 《조선미술전람회》에 처음 입선한 이후 일제시대에 이 전람회에서 여러차례 수상했습니다.
  • 일본 유학을 거쳐 해방후에는 새로 개설된 홍익대학교 미술 대학 교수를 지냈습니다.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50대에 프랑스 파리로 건너갔습니다. 고암 이응노는 한국의 전통 서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을 선보여 유럽 예술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으며 학교를 세우고 서구 젊은이들에게 동양 예술을 가르쳤습니다.
  • 그가 남긴 3만여점의 작품은 전통서화부터 현대의 추상에 이르기까지 매우 폭넓고 다양합니다.
  • 고암 이응노가 살았던 시대는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의 치욕, 해방의 기쁨과 동족 상잔의 비극을 겪었던 격동기였습니다.
  • 경제성장과 민주화를 향한 고통도 있었습니다.고암 이응노는 우리 근현대사의 비극을 삶속에서 고스란히 겪었습니다.
  • 1960년대에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러야했고, 다시는 그리던 고국에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 열일곱 나이에 상경해서 도쿄로, 다시 서울로, 또 파리로. 쉼없이 이어지는 긴 동선속에서 예술세계와 함께 한 인간의 의식세계가 확장해가는 여정 또한 발견할 수 있습니다.
  • 고암 이응노는 끊임없이 낯선 것을 받아들여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마침내는 인종,남녀,노소,취향까지 융화시켰습니다. 안주(安住)는 감히 그의 삶과 화폭에 침입할 수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