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따뜻한 동행 행복한 홍성

지명유래

  •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합천리(合川里), 자음동(自音洞) 및 대야곡리의 일부와 가산면 백인리의 일부를 병합, 대야곡(大也谷)과 합천(合川)의 이름을 따서 대천리라 한다. 현재 대천리는 대천, 합천, 월실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1. 대야곡 : 대천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큰마을이 될 것이라 해서, 대야곡, 대야실(大也實) 또는 대실이라고 부른다. 경주김씨의 한사람이 처음 정착한 마을로서, 지금도 후손들 수십호가 세거하고 있다.
    2. 합천(合川) : 마을에서 두 내가 합친다 해서, 합천 또는 흠내라고 부른다.
    3. 통봉 : 산의 형국이 둥근 통처럼 생겼다 해서, 통봉이라 부른다. 직월산(織月山)이라고도 부른다.
    4. 자음실 : 지형이 누에 머리처럼 생겼다 해서, 자음실이라고 부른다. 자음동(自音洞) 또는 잠박실이라고 부른다.
    5. 잠방골 : 결성현의 잠방(蠶房)에서 쓰는 뽕나무밭이 있었던 자리에 마을이 생겨서 잠방골이라고 부른다. 자음실 가까이에 있다.
    6. 월실(月實) : 곧은 선비가 글을 읽으나 벼슬에 오르지 않고, 이 마을에서 살다가 죽었는데, 풍류를 달에 비유하고 대나무를 절개에 비유하였으며, 비치는 그림자를 그의 행실에 비유하였다고 한다. 그의 생애대로 선비들이 자리해서 글을 깨우칠 마을이라 하여 월실이라 부른다.
    7. 독실 : 옛날에 외따로 떨어져 있는 마을이라 독실이라 부른다.
  •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유척리(柳尺里), 유현리, 송동(松洞), 월곡리(月谷里) 및 대야곡리(大也谷里)의 각 일부를 병합, 유척과 송동의 이름을 따서, 유송리라 하였다.

    1. 덕달미 : 마을 언덕에 소나무가 많이 있었다 해서, 덕달미 또는 송동(松洞)이라 부른다.
    2. 말뫼 : 마을에 말처럼 생긴 산이 있다 해서 말뫼라 부른다.
    3. 버드재 : 버드나무가 있는 고개라 해서 버드재, 유현 또는 유척이라 부른다.
    4. 천지샘 :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샘이라 천지샘이라 부른다.
    5. 장포샘 : 샘과 그 부근에 장포가 많이 난다 해서 장포샘이라 부른다.
  •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장촌(長村), 사점촌(沙店村), 월곡리(月谷里) 및 대가곡리(大佳谷里)의 각 일부를병합 사점촌과 월곡리의 이름을 따서 장곡리라 하였다. 행정리로는 월곡, 장촌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1. 진들 : 들이 넓을뿐만 아니라, 길게 놓인 들이라 하여 긴들이라 부르다 변해서 진들이라고 부른다.
    2. 점말 : 옛날부터 사기점이 있었다 해서 점말, 점촌 또는 사점리(沙店里)라 부른다.
    3. 장말 : 마을에 집들이 길게 놓여 있다해서 장말 또는 장촌이라 부른다.
    4. 은배미골 : 항상 물이 마르지 않는 논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은배미골이라 부른다.
    5. 옻샘골 : 골짜기에 약수로 통하는 옻샘이 있어 옻샘골이라 부른다.
    6. 장말 : 마을에 집들이 길게 놓여 있다해서 장말 또는 장촌이라 부른다.
    7. 은배미골 : 항상 물이 마르지 않는 논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은배미골이라 부른다.
    8. 옻샘골 : 골짜기에 약수로 통하는 옻샘이 있어 옻샘골이라 부른다.
    9. 선자암(仙字岩) : 옛날부터 신선과 선녀들이 내려와서 놀다간 자리에 바위가 있다해서 선자암 또는 선바위라 부른다.
    10. 부엉굴 : 옛날부터 부엉이가 많이 살고 있다해서 부엉굴이라 부른다.
    11. 다릿골 : 마을 지형이 달처럼 생겼다 해서 다릿골 또는 월곡이라 부른다.
    12. 군모루 : 모롱이가 있는 마을이라 군모랭이라 부르다가 변해서 군모루라 부른다.
  •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가곡리(大佳谷里) 및 율리(栗里)의 각 일부를 병합 대가곡과 율리의 이름을 따서 대율리라 하였다.

    1. 가래실 : 골짜기의 지형이 가래처럼 생겼다 해서 가래실 또는 가곡이라 부른다. 또한 가래실 골짜기에 마을이 있는데 이 마을도 골짜기 이름대로 가래실 또는 가곡이라 부른다.
    2. 밤실 : 저울산 아래에 자리한 마을로 옛날부터 밤나무가 많이 있었다 해서 밤실이라 부른다.
    3. 둔전(屯田) : 조선 때 둔전이 있던 자리에 생긴 마을인데 그대로 둔전이라 부른다.
    4. 서문밧 : 마을 서쪽의 바깥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서문밧이라 부른다.
  •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금리(錦里), 상국리(上菊里), 하국리(下菊里), 신점촌(新店村), 구점촌(舊店村) 및 율리(栗里)의 일부를 병합 금리, 상국 및 하국의 이름을 따서 금국리라 하였다. 행정리는 상하국과 금리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1. 국수동 : 마을에 황국반개형(黃菊半開形)의 명당이 있다 해서 국수동 또는 국수골이라 부른다. 글 읽는 사람들이 세상을 소요하는 곳으로선 으뜸이라 하여 명당도 찾을 겸 풍수인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던 곳이다.
    2. 점말 : 옛날에 질그릇점이 있다 하여 점말이라 부른다.
    3. 부창동(扶昌洞) : 창령인(昌寧人) 매계(梅溪) 조위(曺偉)의 후예 십여호가 세거(世居)하고 있는마을이다. 부챙이라고도 부른다.
    4. 구시울고개 : 주챙이에서 결성면 형산리 구시울로 넘어가는 고개를 구시울고개라 한다.구시울은 옛날에 굿을 하던 곳이다.
    5. 머내 : 은하면 금국리 형산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학산리에 이르러, 서쪽으로 꺽이어 결성면 금곡리 머내에서 금리천으로 들어가는 냇물을 머내라 부른다.
  •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동(內洞), 거산리(巨山里), 외남리(外南里), 소가곡리(小佳谷里) 및 학동(鶴洞)일부와 가산면 백인리 일부를 병합, 학동과 가산의 이름을 따서 학산리라 하였다. 행정리는 학동, 내동, 거산, 내남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1. 가그매말 : 마을 지형이 까마귀가 알을 품고 있는 형국이라 가그매말이라 부르는데 변하여 가금말이라고도 부른다.
    2. 가래실 : 대율리와 학산리 사이의 골짜기에 있는 마을인데 작은 마을이라 가래실 또는 소가곡이라고 부른다.
    3. 거미 : 산이 거미처럼 생겼다 해서 거미라고 부르는데, 이 산 아래에 자리한 마을도 거미라고 부른다. 거산 또는 윗금리라고도 부른다.
    4. 잿말 : 언덕진 곳에 자리한 마을이라 잿말이라 부른다.
    5. 장수골 : 옛날에는 산수가 수려한 곳에 자리한 마을로 사람들이 장수한다 해서 장수골이라 부른다.
    6. 나락실 : 논이 기름져서 나락이 잘된다 하여 나락실, 도곡(稻谷) 또는 조곡(租谷)이라고 부른다. 마을의 지형이 학의 형국이라 학동이라고도 부른다.
  • 본래 조선시대 초기에는 결성현에 속해 있었고 조선후기에는 결성군 가산면에 속해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평촌(坪村)을 병합하여 은하면 목현리(木峴里)로 되었다.

    1. 나무고개 : 나무가 많이 있어 낮에도 음침하였다 하여 나무고개라 부르는데 그 고개아래에 자리한 마을도 고개 지명을 따라 나무고개라 부른다.
    2. 덤풀말 : 옛날부터 대나무 덤풀이 있는 마을이라 해서 덤풀말 또는 죽수리라 부른다.
    3. 하정자다리 : 옛날에 하씨 한사람이 다리 옆에 정자를 세웠다 해서 하정자다리라 부르고 하정자교 또는 목현교(木峴橋)라고도 부른다.
    4. 물방아자리 : 옛날에 논에 물방아가 있었던 자리라 해서 물방아자리라고 부른다.
    5. 벌말 : 들판에 마을이 있다 해서 벌말 또는 평촌이라 부른다.
    6. 새벗 : 옛날에 소금 굽는 솥을 새로 설치하였다 하여 새벗이라 부른다.
    7. 장고개 : 고개 마루에 장승이 박혀 있었으며 마을 사람들이 결성장을 보러 다니는 고개라 하여 장고개 또는 장승배기라고도 부른다.
    8. 장포배미 : 논에 장포가 많이 난다 해서 장포배미라고 부른다.
  •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어령리(於寧里), 백인리(百忍里)의 일부와 학동(鶴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대판리(大板里)라 하였다. 이때부터 행정구역이 대판리가 되었으며 대판, 백인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1. 검봉산(劒峯山) : 산이 칼날처럼 생겼다 해서 검봉산 혹은 금봉산(錦峯山)이라고도 부른다.
    2. 백인 : 옛날에 마을이 생기면 두 성씨가 살면서 항시 불화로 싸움이 그칠 새가 없었는데 하루는 서로 싸우지 말고 살자하여 화해를 한 다음 마을 이름도 백인(百忍)이라 부르고, 후에 백인(百人) 또는 백인(白仁)이라 고쳐서 불렀다.
    3. 어령 : 대판 동북쪽의 마을을 어령이라 부른다. 안졸(安卒)이라고도 한다.
  •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미어실리(米於實里), 결덕리(結德里), 점촌(店村) 및 목현리의 각 일부와 오천군 천북면의 덕두리 일부를 병합 결덕과 미어실의 이름을 따서 덕실리라 하였다. 덕실은 '덕두', '미어실', '미실' 등으로 불리운다. 행정리는 덕실, 구동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1. 덕두 : 큰 언덕의 머리쪽이 된다 하여 덕두 또는 덕머리라 부른다. 조선때 보령군과 결성군의 경계가 되어서 보령덕머리와 결성덕머리로 나뉘었다.
    2. 결덕 : 결성에 딸린 덕머리라 해서 결덕 또는 결성덕머리라고 부른다.
    3. 보령덕머리 : 보령군에 딸리었던 지역이라 보령덕머리라고 부른다.
    4. 미어실 : 옛날부터 곡식이 잘 되어서 가을이면 황금들판을 이루는 마을이라 미어실이라 부른다. 미실(米實)이라고도 부른다.
    5. 점촌 : 옛날에 사기점이 있었다 해서 점촌, 점말 또는 구동(九洞)이라고도 부른다.
  •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상가리(上加里), 중가리(中加里), 하가리(下加里) 및 야동을 병합하여 꽃처럼 생겼다는 화봉(花峯)이 있으므로, 화봉리라 하였다. 행정리는 상가, 야동, 중가, 하가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1. 매봉재 : 지기산(智基山) 줄기가 되는데 모양이 매처럼 생겼다 하여 매봉재라 부른다.
    2. 무재고개 : 옛날에 기우재를 지냈던 고개라 무재고개라 부른다.
    3. 독골 : 옛날에 독을 굽던 도요지가 있던 골짜기라 독골이라 부른다.
    4. 다랭잇들 : 옛날에 논다랭이가 많이 피었다 해서 다랭잇들이라고 부른다.
    5. 곱도리고개 : 산세가 가파라서 길이 꼬불꼬불하여 자주 올라가는 고개라 곱도리고개라고 부른다.
    6. 가출미 : 산아래 마을이 있다해서 가출미라 부른다. 가차산(加次山) 또는 가산(加山)이라고 부른다.
    7. 불못골 : 옛날부터 마을에 부처가 있다 해서 불못골이라 부르고, 야동이라고도 부른다.
    8. 새앙골 : 마을에 좋은 샘이 있으므로 새암골이라고 부르다가 변해서 새앙골이라고도 부른다.
    9. 옻밭골 : 마을에 옻나무가 많이 있었다 해서 옻밭골이라고 부르며 하가라고도 부른다.
    10. 장승고개 : 고개에 장승이 서 있었다 해서 장승고개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호랑이가 자주 나타났던 고개라 한다.
  • 장자가 살았다 하여 장자울 또는 장척(長尺)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장척리, 중리(中里), 포항리(浦項里) 일부와 오천군 천북면 창리, 구창동, 두실동 및 벌리를 병합 장척리라 하였다. 행정리는 장척, 중리, 포항마을로 나뉘어져 있다.

    1. 개목 : 마을 지형이 개의 목처럼 생겼다 하여 개목이라 부른다. 포항(浦項)이라고도 부른다.
    2. 남창(南倉) : 조선때 결성읍내 남쪽에 있는 해창(海倉)이라 하여 남창이라 부른다.
    3. 투구리 : 지형이 투구처럼 생긴 마을이라 해서 투구리라 부른다.
    4. 중말 저수지 : 장척리와 보령시 천북면 신죽리 사이에 있는 저수지로 면적이 6정보에 이른다.
    5. 정자뜸 : 마을에 정자나무가 있었다 해서 정자뜸이라 부른다.
    6. 잿말 : 마을이 작은티 아래에 있다 해서 잿말이라고 부른다.
    7. 중개목 : 가운데 있는 마을이라 해서 중개목, 중말 도는 중리라고 부른다.
    8. 장자울 : 옛날에 장자가 살아서 크게 빛을 남겼던 마을이라 장자울이라고 부른다.
    9. 매봉재 : 옛날에 매사냥을 한 재라 매봉재라고 부른다.
    10. 무재고개 : 옛날에 기우제를 지냈던 고개라 무재고개라 부른다.
    11. 솔모루 : 마을 모롱이에 소나무가 무성했다 해서 솔모루라고 부른다.